꿈꾸는 청소년, 활동하는 청소년!

청소년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열어나갈 꿈과 희망입니다.

정책제안

  • 열린마당
  • 정책제안
인쇄
어린이, 청소년을 위한 공공공간 한칸+ 정책
  • 이름 정O은
  • 작성일 2025-05-09
  • 조회 6
  • 영역 복지
  • 제안이유   부산광역시에서 ‘들락날락’ 조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중구에는 어린이와 청소년만을 위해 리모델링하거나 기능을 전환시킬 수 있는 시설들이 많지 않고, 인구 유출에 따라 생겨나는 빈집들이 많더라도,,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접근성과 문화공간 조성을 위한 조건들을 고려하였을 때, 이에 부합하는 장소 및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쉽지 않다. 
      중구의 적은 학생 인구와 공간 확보의 어려움으로 보아, 전용 시설을 새롭게 확보해 만들기보다는 기존 공간을 효율적으로 공유하는 방식이 보다 지속 가능하고 현실적인 방안이 될 것이라 생각하여, ‘어린이, 청소년을 위한 공공공간 한칸+ 정책’ 을 제안한다.
  • 제안내용 (1) 정책 소개 및 주요 전략
     ‘어린이, 청소년을 위한 공공공간 한칸+ 정책’은 중구 내 어린이와 청소년 나이 때의 학생들과 학부모의 의견을 반영하여, 지역 공공시설의 일부 공간에 어린이/청소년 전용 공간을 조성하여 운영하는 정책이다. 오로지 어린이와 학생만을 위한 시설을 만드는 데에는 부담이 있으므로, 어떠한 장소 또는 시설의 기능을 모두 전환시키는 것이 아니라, 주로 어른들이 활발히 이용하도록 만든 공공 시설의 공간 중 일부 공간을 공유하여, 어린이/청소년을 위한 전용 공간으로 바꾸거나, 일정한 시간에 어린이/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도록 하는, 즉 공공 공간 중 한 칸을 어린이/청소년을 위해 내어주는 정책이다. 

    (2) 정책 활용 예시
    어른들을 중심으로 이미 활발히 이용되고 있는 시설에는 중앙 도서관, 스포츠센터 (중구웰빙체육관), 40계단 문화관(생활문화센터) 등이 있다. 
    중앙 도서관에 청소년 전용 열람실과 청소년 대상 다목적실 또는 토의실을 조성하여 운영하도록 한다. 
    중구의 스포츠 센터는 지역의 특성상 노인을 위한 프로그램 위주로 홍보와 운영이 이루어지는 편이다. 일정한 기간 또는 특정 요일, 시간대에 어린이/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 어린이/청소년을 위한 전용 체육 공간을 함께 마련한다.
    40계단 문화관과 같은 생활문화센터에 청소년, 학생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모둠 활동(토의, 과제 수행 등) 및 쉼을 위한 공간을 조성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미 여러 창작 활동 공간, 연구 학습 및 토론 공간, 음악 활동 공간이 갖추어져 있지만, 학생들의 이용은 쉽지 않음.)

    (3) 지역 주민 의견 수렴 방법
    정책을 실시하는 데에 있어서, 공간 조성 및 프로그램 운영에 대해, 어린이와 청소년, 학생과 학부모는 물론, 다양한 지역 주민의 의견이 활발히 반영되어야 한다. 따라서 달마다 한 번 씩 정책 계획 및 의견 수렴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도록 한다. 설문조사는 지역 주민의 메시지로 전송되고, 학생들은 학교 차원에서 설문조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 기대효과 (1) 지역 어린이와 청소년의 문화, 여가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정서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 기존의 공공 시설을 활용하고 공유하여 어린이/청소년 전용 공간을 만듦으로써, 대규모 예산 없이 어린이와 청소년이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 확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들의 공간 접근성이 높아지고, 문화 활동과 여가 시간이 풍요로워질 수 있다. 이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창의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2) 세대 간 공간 공유를 통하여 지역 공동체가 더욱 강화될 수 있다. : 어른 중심으로 운영되던 공공시설에 어린이와 청소년이 함께 참여함으로써, 세대 간 소통과 이해가 증진되는 효과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3) 지역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과 정책의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 전체 시설의 기능을 완전히 전환하지 않고, 일부 공간을 공유, 조정함으로써 공간의 낭비는 줄이면서 활용도와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전략은 정책 추진의 지속성을 확보하고, 정책 추진의 유연성 또한 높아서 지역 여건에 맞는 맞춤형 운영도 가능할 것이다.